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줄거리, 인물, 사회적 배경

by 머니카페테리아 2023. 9. 23.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

 

-목차-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는 마가렛 미첼(Margaret Mitchell)의 소설을 빅터 플레밍(Victor Fleming) 감독이 영화로 각색한 작품입니다. 미국 남부의 소녀 스칼렛 오하라(Vivien Leigh)가 남북전쟁을 지나며 겪게 되는 삶과 사랑을 다룬 작품으로 보는 관객들에 진한 감동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영화의 줄거리, 주요 등장인물 그리고 영화 제작의 사회적 배경을 서술한 것입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줄거리

여주인공 스칼렛의 아버지는 남부 조지아주에 위치한 타라 대농장의 부호입니다. 많은 남자들이 매력적인 스칼렛을 좋아하지만, 그녀는 애슐리 윌키스(Leslie Howard Stainer)를 짝사랑하고 있습니다. 어느 날 애슐리의 집에서 열린 파티에서 스칼렛은 애슐리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그는 멜라니 해밀튼(Olivia de Havilland)과 결혼할 계획을 말하며 거절합니다. 우연찮게 이 장면을 목격한 레트 버틀러(Clark Gable)는 스칼렛에 관심을 표현하고 그녀는 당황해하며 자리를 떠납니다. 스칼렛은 애슐리와 멜라니가 함께 있는 모습을 보고 홧김에 멜라니의 오빠 찰스 해밀튼(Rand Brooks)의 청혼을 받아들여 둘은 결혼식을 올립니다. 그러나 전쟁에 참가했던 찰스는 폐렴으로 사망하고 맙니다. 스칼렛은 어머니의 제안을 따라 고모가 있는 애틀랜타로 멜라니와 함께 떠납니다. 스칼렛은 남부군을 위한 기부 행사에서 부자가 된 레트와 다시 만나게 됩니다. 그녀는 여전히 애슐리를 마음에 두고 있지만 레트의 관심이 싫지만은 않습니다. 애슐리는 짧은 크리스마스 휴가를 나왔다가 다시 부대로 복귀합니다. 당시 남부군은 전쟁에서 밀리고 있었습니다. 스칼렛은 병원에서 부상당한 남부 병사들을 지원하는 봉사를 합니다. 그러던 중 스칼렛은 부모님의 병환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가길 원하지만, 임신한 멜라니를 돕기 위해 애틀랜타에 남습니다. 그러나 애틀랜타에도 전쟁이 일어나고 스칼렛은 레트의 도움으로 출산한 멜라니와 함께 고향 조지아주로 돌아갑니다. 농장에 거의 다다를 무렵, 레트는 스칼렛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떠나갑니다. 스칼렛이 타라에 돌아와 보니 어머니는 병으로 사망하였고 아버지는 정신이 온전치 않았습니다. 농장은 전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어 예전의 모습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황은 어려웠지만 스칼렛은 집안의 가장으로 두 동생과 하인들 그리고 멜라니와 함께 농장을 운영하게 됩니다. 어느 날 북부 군 병사가 강도 짓을 하기 위해 집안으로 들어와 위협을 하자 스칼렛은 총을 쏘아 그를 죽이고 땅에 묻습니다. 얼마 후 북부 군에 붙잡혀 감옥에 있던 애슐리가 집으로 돌아오고, 스칼렛은 그에게 다시 사랑을 고백하지만 애슐리는 그녀를 거절을 합니다. 한편 전쟁은 북부의 승리가 예상되고, 북부의 관리는 남부의 농장들에 엄청난 세금을 올리게 됩니다. 타라 농장의 형편이 좋지 않다는 소식을 들은 윌커슨은 농장을 사겠다며 방문하지만 스칼렛이 거절합니다. 그리고 이 이야기를 듣고 있던 스칼렛의 아버지가 분을 내며 말을 타고 윌커슨의 마차를 쫓아가다 낙마하여 사망하게 됩니다. 스칼렛은 세금을 낼 돈을 구하기 위해 애틀랜타에 있는 레트를 찾아가지만 거절당합니다. 그러다 거리에서 목재 사업으로 성공한 프랭크 케네디(Carroll Nye)를 만나게 됩니다. 본래 프랭크는 스칼렛 여동생의 남자 친구였지만, 돈이 필요했던 스칼렛은 프랭크에게 그녀의 여동생이 다른 남자와 결혼할 계획이라 거짓말을 합니다. 그리고 그녀 자신이 프랭크와 결혼을 하여 농장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이후 스칼렛은 목재소 사업에 뛰어들어 사업을 확장하는 데 성공합니다. 어느 날 그녀는 혼자 마차를 타고 공장으로 가던 중 빈민가 근처 숲 속에서 습격을 받게 되지만, 과거 타라 농장에 일꾼이었던 빅 샘이 나타나 구해줍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프랭크와 남부 사람들이 보복을 위해 몰려갔지만, 도리어 함정에 빠져 프랭크는 죽고 애슐리는 부상을 입은 채 돌아오게 됩니다. 이후 레트는 혼자 남게 된 스칼렛에게 청혼을 하고 둘은 결혼을 하여 딸 보니(Cammie King)를 낳게 됩니다. 그러나 스칼렛은 여전히 애슐리를 사랑하고 있었고, 이를 알게 된 레트와 그녀의 사이는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합니다. 레트는 스칼렛에게 기대할 수 없는 사랑을 딸 보니에게 쏟습니다. 어느 날 스칼렛과 애슐리가 포옹하고 있는 장면을 사람들이 보게 되고 레트는 이 사실을 알게 됩니다. 레트는 스칼렛에게 이혼의 의사를 밝히고 보니와 함께 런던으로 여행을 떠나지만, 보니가 악몽을 꾸고 엄마를 그리워하자 집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스칼렛은 레트와 대화를 하는 중 계단에서 넘어져 유산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보니 또한 스칼렛과 레트가 보고 있는 중에 말을 타다 넘어져 죽고 맙니다. 불행은 겹쳐 오는 것인지 상심한 레트를 위로하러 온 멜라니가 쓰러져 생을 마감합니다. 스칼렛은 자신이 레트를 사랑한다는 것을 깨닫지만 기다림에 지친 레트는 그녀를 떠나갑니다. 스칼렛은 타라로 돌아가기로 마음을 먹고 영화는 막을 내립니다.

 

주요 등장인물

스칼렛 오하라 역을 맡은 비비안 리는 영국령이었던 인도 출신의 여배우로, 첫 데뷔작은 마을의 지주(The Village Squire, 1935)입니다. 그녀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와 A Streetcar Named Desire (1951) 두 작품으로 아카데비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스칼렛은 미국 남부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철부지 소녀로, 그녀는 가문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녀는 또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만 움직이는 이기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감정에만 충실하여 늘 주변 사람들을 무시하거나 상처를 주었습니다. 그러나 남북 전쟁을 겪으며 그녀는 고향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고 가족과 주변 사람들을 헌신적으로 지켜냅니다. 그녀는 전쟁이라는 위기 속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어려움을 극복하며 강인한 여인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레트 버틀러를 연기한 클락 게이블은 미국 오하이주 출신으로 194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 황금시대에 활동한 배우입니다. 그는 초기에 White Man(1924), The Painted Desert (1931) 그리고 The Finger Points(1931) 등의 작품에 참여하였습니다. 레드 더스트(Red Dust, 1932)와 어느 날 밤에 생긴 일(It Happened One Night, 1934) 등의 작품에서는 연기력을 인정받아 명성을 알리게 됩니다. 이후 바운티 호의 반란(Mutiny On The Bounty, 1935)에 출연하여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여받습니다. 레트는 오만과 우월감에 사로잡혀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는 남부의 다른 남자들과는 달리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현실주의자입니다. 그는 사업에도 재능이 있어 남북의 전쟁 상황을 이용하여 부를 축적합니다. 그는 때로는 유머가 있지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때는 직설적인 표현을 서슴지 않습니다. 그는 감정에 솔직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단호한 모습도 있습니다. 레트는 스칼렛을 처음 만날 때부터 그녀에 대해 호기심을 갖습니다. 사람들은 스칼렛에 대해 뒤에서 수군대지만, 레트는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그녀가 사랑스러워 보입니다. 그는 스칼렛이 위기를 맞는 순간마다 때로는 방관자로, 때로는 구원자의 모습으로 그녀의 앞에 등장합니다. 마침내 레트는 평소 결혼하지 않는다는 소신까지 버리고 그녀와 결혼하여 아이까지 낳지만, 딸의 죽음과 다른 남자만을 사랑하는 그녀를 견딜 수 없어 결국 그녀를 떠나게 됩니다. 애슐리 윌크스를 주연한 레슬리 하워드는 영국 런던에서 출생하였습니다. 연극배우로 커리어를 시작한 그는 이후 영화계에 진출하여 큰 인기를 얻습니다. 레슬리는 영화 The Heroine of Mons(1914)로 처음 스크린에 데뷔하였고 스칼렛 핌퍼넬(The Scarlet Pimpernel, 1934)과 Berkeley Square(1933) 등의 작품에 출연하였습니다. 영화 피그말리온(Pygmalion, 1938)에서는 연기력을 인정받아 아카데미 최우수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고, 이후 1938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최고 배우상과 1946년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인기 영화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는 세계 2차 대전 당시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애슐리는 남부의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젠틀하고 도덕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사랑에 있어서는 모호한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애슐리는 가문의 관습에 따라 멜라니와 결혼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스칼렛에 대해 사랑하는 마음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평소에 가진 도덕적 원칙 때문에 멜라니와의 관계에 더 치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스칼렛의 주변에 머물면서 그녀의 사랑을 완벽히 거절하지 못합니다. 결국 멜라니가 병으로 죽을 때에야 자신의 온전한 사랑은 멜라니였음을 깨닫게 됩니다. 멜라니 해밀턴 역을 주연한 올리비아 드 할리랜드는 일본에서 출생하였고 미국에서 연기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녀는 1935년 Alibi lke(1935)로 영화에 데뷔하였습니다. 이후 그들에겐 각자의 몫이 있다(To Each His Own, 1946)와 사랑아 나는 통곡한다(The Heiress, 1949) 등 수십 편의 작품에 출연하였고,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은 물론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였습니다. 멜라니는 해밀턴 가문의 여식으로 애슐리와 결혼을 합니다. 그녀는 스칼렛과 정반대의 성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녀는 전통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인내심과 이해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늘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려 노력하고 가족들을 알뜰히 살핍니다. 그래서 주변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아끼고 사랑합니다. 그녀는 진심으로 남편 애슐리를 믿고 존중하고 있으며, 스칼렛에게도 둘도 없는 친구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연약한 체질을 가졌던 그녀는 늘 건강이 안 좋았고 결국 젊은 나이에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사회적 배경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제작된 사회적 배경은 그 시대 미국의 역사적, 문화적 상황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다음에 살펴볼 당시의 사회적 측면들은 영화가 제작된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첫째, 1930년대는 미국의 대공황 시기였습니다. 경제 위기는 미국인들의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고, 많은 사람들이 실직과 가난으로 고통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 시기의 영화산업도 대공황의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하였습니다. 영화계는 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관객을 유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였습니다. 둘째, 영화의 역사적 배경이 되는 남북전쟁은 노예제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북부는 노예 제도의 폐지를 주장했지만, 면화 산업이 발달했던 남부는 값싼 노동력이 필요했기에 노예 제도를 옹호하였습니다. 남부를 중심으로 펼쳐진 이 작품에는 백인과 흑인들의 관계가 낭만적이고 인간적인 관계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은 노예제도의 잔인함을 외면하고 미화한 것이라는 비판과 논쟁을 야기하였습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정치적 이유로 노예제도에 대한 의견이 달랐을 뿐, 미국 사회 전반에는 백인들이 흑인보다 우월하다는 우월의식이 팽배해 있었습니다. 셋째,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반은 할리우드 영화의 황금기라 불리고 있습니다. 대공황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심적인 위로와 탈출구가 필요하였고, 영화는 그들에게 즐거움과 도피처를 제공하는 좋은 대안이었습니다. 특별히 전쟁이라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스토리는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불러일으켜 주었습니다. 넷째,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변화가 논의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영화는 당시 사회의 여성의 전통적인 역할에 도전하는 스칼렛을 등장시키고 있습니다. 그녀는 관례대로 행해지는 결혼이 아니라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는 것을 선택하려 합니다. 또한, 다른 여인들이 가정에서 수동적인 역할에 머무는 것과 달리 거친 사업에 뛰어들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였으며, 스스로 인생을 자신이 결정하며 나아갑니다. 그러나 사회의 거대한 관습의 법칙은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었고, 그에 반하는 스칼렛의 도전은 많은 어려움과 반대에 부딪히게 됩니다. 그럼에도 스칼렛은 좌절하지 않고 또 다른 내일을 기대하며 오늘을 살아가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이 작품의 사회적 배경에는 대공황, 노예제도, 할리우드 황금기 그리고 여성의 사회적 역할의 변화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는 영화 속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반응형